[김대호의 경제읽기] 액트지오 "석유·가스 유망성 높아"…경제성 전망은?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영일만 일대에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의 아브레우 고문이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. 성공률로 '20%'의 수치가 제시된 것과 관련해 "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의 가능성"이라고 평가하며 가이아나 리자 광구와 유사한 구조를 발견했다고 했는데요. 가이아나 리자 광구의 경제성은 어느정도였나요?<br /><br /> 액트지오사가 선정된 배경에 대한 의문도 있었습니다. 석유공사는 4개 업체의 경쟁 입찰을 진행했고 가격평가 거쳐 선정했다고 과정을 설명했는데 의구점이 어느정도 해소됐다 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편, 호주 최대 석유개발회사인 우드사이드가 우리 정부와 이 일대 자원 탐사를 진행하다 철수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. 철수 이유는 무엇이었나요?<br /><br /> 정부는 우드사이드가 인수, 합병 과정에서 기존 사업에 대한 재조정에 나선 것일 뿐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?<br /><br /> 석유·가스가 동해에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관련 주가가 큰 폭으로 출렁이고 있는데요. 오늘 기자회견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해소됐다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유럽중앙은행인 ECB가 연 4.5%에서 4.25%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섰습니다. 스위스·스웨덴·캐나다에 이은 유로존이 금리 인하를 결정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다만 ECB는 올해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했습니다. 라가르드 총재는 "울퉁불퉁한 길이 될 것을 알고있다"며 향후 몇 달은 평탄하지 않을 거라 이야기 했는데 무슨 의미인가요?<br /><br /> 최근 몇 년간 고물가에 대처하기 위해 강도 높은 금리 인상 정책을 단행했던 주요국들이 금리 인하에 나서며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 또한 올 하반기 중 인하에 나설거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당장 9월 인하 가능성도 나오는데 가능성 있을까요?<br /><br /> 글로벌 피벗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 시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기대해도 될까요? 연준이 9월에 금리를 인하할 경우 한은도 10월이나 11월에 뒤따라 금리를 내릴 것이란 예상도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